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진 논리 회귀
- 팔로우 기능 에러
- 딥러닝
- DRF
- ERD
- serializer
- 개인페이지
- 머신러닝
- 비밀번호 수정
- 백엔드
- docker
- python to json
- 북마크한 목록 가져오기
- test.py
- js
- API명세
- 댓글쓰기
- class view
- json to db
- CNN
- 장고
- 팀프로젝트 기획
- Python
- 다항 논리 회귀
- Django
- original set
- 프론트엔드
- 프로필사진 업로드
- 댓글지우기
- 와이어프레임
- Today
- Total
목록코딩 (73)
코딩 개발일지
삭제기능이 구현하기 더 쉬워서 먼저 만들었다. articleId 값을 정의해주는 방법이 많다. 에서 articleId 값 정의하는 법. window.onload = async function(){ const urlParams = new URLSearchParams(window.location.search); articleId = urlParams.get('article_id'); console.log(articleId) await loadArticles(articleId); await loadComments(articleId); } html의 onclick을 js파일에서 받아서 response를 fetch로 백엔드주소를 받아서 DELETE method로 보내면 된다. 그러면 백엔드의 views.py에서의..

팀프로젝트 2일차에 여러 기능을 만들다가 문제에 발생했다. 1. 프로필사진 업로드를 하고, admin 페이지에서 user생성할 때, 사진 업로드 칸이 없다. 2. 회원가입 시, 프로필사진 업로드 후 가입하면, 로그인할때, 오류 발생함. (지정된 자격 증명에 해당하는 활성화된 사용자를 찾을 수 없습니다) 3. 팔로우 기능 추가 후, user profile 페이지에서 followers, followings 둘 다 표기하고 싶었지만, followings만 나오는 문제 1. 프로필사진 업로드를 하고, admin 페이지에서 user생성할 때, 사진 업로드 칸이 없다. 우리는 user model을 만들 때, django 기본 내장 user는 AbstractUser 인데, 커스텀하고싶어서 AbstractBaseUse..

vscode extension 에서 live share를 install 해서 팀원들과 동시에 코드를 짤 수 있다. 팀장이 live share를 키고, 링크를 팀원들에게 공유하면 참여 할 수 있었다. terminal 입력은 팀장만 가능한데, 팀원들에게 터미널 입력 권한을 주면 팀원도 입력이 가능했다. 단점은, database가 팀장의 local 에만 생성되었고, 이미지파일을 업로드 했을 때, media 파일 또한 팀장의 local 에만 생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지금까지 받았던 교육들과 마찬가지로 CRUD 기능을 팀원4명이 모두 같이하니까 첫날은 문제없이 코드를 완성했다!!

컨셉은 코딩을 하면서 생기는 error를 공유하는 커뮤니티(like 블로그) 를 만드는 것이다. 와이어프레임은 이렇게 만들었다. erd는 아래와 같이 만들었다. API 설계는 이렇게 만들었다.

index.html 과 index.js 파일을 연결하고 싶을 때, index.html에 script 태그로 연결시켜주면 된다. 이 script 의 위치가 중요한데, head 가장 아래 넣어기도 하고, body 가장 아래 넣어주기도 한다 body 가장 아래 넣어주는게 좋다. (추천) 왜냐하면, html.index 파일에서 위에서부터 읽어오기때문에, body부분에서 index.js 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css 파일을 따로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는데, link:css 태그를 안에서 전에 넣어주면 된다. const mainHeader = document.querySelector('h1') const myList = document.getElementById('my-list') const listItem..

blank 와 null 의 차이점 = " " 와 None 권한 설정을 하는 여러 방법 중 2가지 소개 1. if 문을 이용해서 로그인한 사용자와 댓글만 사용자가 같을 때만 삭제가가능하도록 코드 짜기 def delete(self, request, article_id, comment_id): comment = get_object_or_404(Comment, id=comment_id) if request.user == comment.user: comment.delete() return Response("삭제완료", status=status.HTTP_204_NO_CONTENT) else: return Response("권한이 없습니다!", status=status.HTTP_403_FORBIDDEN) 2. com..